운전 중 ‘지나간 줄 알았는데’라는 안도감, 이제는 금물입니다. 후면 단속카메라가 당신의 뒷모습까지 감시하며 법규 위반 여부를 판단합니다. 최근 급격히 늘어난 후면 카메라는 과속, 신호위반, 헬멧 미착용 등 다양한 위반 사항을 놓치지 않고 포착합니다.
이 글을 통해 단속카메라의 실제 위치, 촬영 거리, 과태료 기준에 대한 내용을 꼼꼼하게 정리하였으니, 관련된 내용을 확인하셔서 후면 카메라에 단속당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후면 단속카메라란 무엇인가?

후면 단속카메라는 차량의 후면을 촬영하여 과속, 신호위반, 이륜차 헬멧 미착용 등 다양한 교통법규 위반을 단속하는 장치입니다. 기존의 전면 단속카메라가 포착하지 못했던 오토바이, 불법 유턴 차량 등의 단속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특히 오토바이의 경우 전면 번호판이 없어 후면 촬영이 필수적입니다.
설치 위치와 확인 방법
후면 단속카메라는 기존 전면 카메라로는 단속이 어려웠던 위반 유형들을 보완하기 위해 점차 확대 설치되고 있습니다. 특히 오토바이의 전면 번호판 부재, 차량의 후면 불법 구조 변경, 속도 위반 후 가속 등 다양한 사례가 늘어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후면 단속카메라의 필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후면 단속카메라는 다음과 같은 장소에 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 어린이 보호구역 및 스쿨존
- 과속 사고 다발 구간
- 터널 출입구나 교차로
- 주요 국도 및 고속도로
후면 단속카메라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WhereCam을 이용한 방법과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TOPIS릴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내비게이션 앱을 활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 WhereCam: 전국 단속카메라 지도 제공
- 서울시 TOPIS: 서울 지역 교통정보 제공
- 내비게이션 앱: T맵, 카카오내비, 네이버지도 등은 단속카메라 위치를 실시간 제공
3. 촬영 거리 및 감지 방식

후면 단속카메라는 차량이 카메라를 지난 후 약 10~20미터 거리 내에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고 촬영합니다. 속도 감지는 레이더 또는 루프코일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카메라간 거리와 차량 통과 시간을 계산하여 차량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촬영합니다.
일부 고성능 카메라는 최대 50미터 거리에서도 번호판을 정확히 식별할 수 있으며, 중앙선 침범, 신호등 위반, 버스 전용차로 위반 등 다양한 교통법규 위반 사항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AI 분석을 통해 헬멧 미착용이나 차량 종류까지 식별 가능합니다.
과태료 기준 (2025년 기준)
후면 단속에 의해 적발될 경우 부과되는 과태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만약 속도 위반 여부 및 과태료(벌점) 정보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경찰청 교통민원24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과속 위반
- 20km/h 이하 초과: 40,000원 (벌점 없음)
- 20~40km/h 초과: 70,000원 (벌점 15점)
- 40~60km/h 초과: 100,000원 (벌점 30점)
- 60km/h 초과: 130,000원 (벌점 60점)
신호 위반
- 전 차량 동일: 70,000원 (벌점 15점)
이륜차 헬멧 미착용
- 2만원 이하 범칙금, 반복 적발 시 형사처벌 가능
오토바이 운전자 유의사항
오토바이의 경우 후면 단속카메라의 주요 대상입니다. 특히 AI분석을 통해 헬멧 미착용 등의 내용까지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 뿐만 아니라 오토바이 운전자들도 다음 사항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 헬멧 필수 착용
- 중앙선 침범, 인도 주행 금지
- 등록된 번호판 부착
- 야간 라이트 점
최근에는 AI 기반 카메라가 헬멧 착용 여부를 자동 감지하고, 번호판 식별이 안 될 경우 영상 분석으로 운전자를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요구됩니다.
안전 운전을 위한 실천 팁
- 단속카메라가 없더라도 항상 제한속도 준수
- 급정거 또는 급가속을 피하는 ‘일정 속도 유지’ 운전 습관
- 스쿨존, 횡단보도 등에서는 반드시 감속
- 출발 전 내비게이션 또는 교통정보 앱을 통해 단속 정보 확인
마치며
후면 단속카메라는 교통법규 위반을 억제하고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입니다. 특히, 후방에서의 단속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과는 다른 운전 습관이 요구됩니다. 모두의 안전을 위해 교통법규를 준수하고, 방심하지 않는 운전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차량 구매 카드할부와 오토할부의 4가지 차이점은?
✅ 속도위반 단속카메라의 모든 것, 작동원리부터 벌금,과태료 정리